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전남 월출산 무위사 본문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월출산 무위사(無爲寺)
무위사는 월출산의 남쪽 기슭 성전면 월하리에 자리 잡은 고찰로 근처에 있는 월남사지와 함께 유서가 깊은 선종사찰이다.
<무위사사적>에 따르면 무위사의 초창은 수양제 대업(隋煬帝 大業) 13년, 즉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가 관음사로 창건했다고 한다.
그러나 신라 승려 원효가 남의 나라인 백제 땅에 사찰을 창건했다는 것은 당시 양국간의 관계를 미루어 볼 때 도저히 믿어지기 어렵다.
무위사는 신라 효공광 9년(905) 이후 가지산문계통의 선승(禪僧) 선각대사 형미(逈微)가 주석(住錫)하고 있었다는 점으로 보아서
동리산문 계통의 도선국사가 875년에 2창했다는 것도 믿기 어려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무위사는 형미가 주석했던
10세기 초 이전에 창건되어 있었고 당시의 사찰명이 무위갑사(無爲岬寺)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무위사 극락전 <국보 제13호>
국보 제13호로 지정된 무위사 극락전은 1956년에 해체보수하고 1974년에 벽화를 이전하고 다시 1983년에 해체·수리하였는데 이때 종도리 받침
장혀에서 선덕 5년이라는 묵서명(墨書銘)이 나와 이 건물이 1430년(세종 12)에 지어졌음이 밝혀졌다
무위사 삼층석탑<전남 문화재자료 제76호>
이 석탑의 조성 연대는 선각대사편광탑비의 연대와 동시대이거나 그 연대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고려시대 초반기로 추정된다.
지대석은 몇개의 넓은 돌로 짜여져 있고 그 위에는 각형 2단의 괴임대와 하대기단 중석이 연결되고 있는데 각 구를 2구로
나누고 중앙에는 탱주 1주와 양면에는 우주(모서리기둥)를 조각하였다.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 1석씩으로 탑신부의
양면에 우주가 모각되고 2~3층에서는 그 높이와 폭을 줄여 알맞은 체감을 보였다.상륜부는 완전하게 남아있다.
비교적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을 충실히 고수하고 있다.
무위사 선각대사편광탑비<보물 제 507호>
선각대사(864~918)을 기리기 위해 고려 정종 원년(946)에 세운 것이다.
대사는 통일 신라 말의 명승으로 법명은 형미, 속세의 성은 최씨다. 형미는 무위갑사(현재의 무위사)의 주지로 8년간 머물렸고,
어려울 때 왕건을 도와준 바 있다. 비는 받침돌과 머릿돌을 갖춘 완전한 모습이다. 몸돌에는 선각대사의 행적과 최언위가 비문을 짓고
유훈율이 해서로 썼다는 기록이 있다. 비의 높이는 2.35m, 폭은 1,12m이다.
무위사의 소박한 아름다움과 머핀님......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국보 제313호>
무위사는 극락전내의 아미타후불벽화가 보물 1313호로 지정된지 8년만에 국보 제313호로 지정됨과 동시에 '아미타여래삼존벽화'로
이름도 변경되면서 국보를 2점이나 보유한 사찰이 되었다. 벽화하단에는 화기가 쓰여 있는데 기록에 의해 1476년(성종 7)이라는
제작시기와 조성주체, 그리고 조성한 작가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높다.
-데일리안 윤대식기자 기사참고- |
극락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보존각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있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안을 들여다 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문화재청-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 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알음알음님...그리고...더미님......♥♥
'사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덕유산 영각사 (0) | 2010.03.05 |
---|---|
피안으로 이르는 절 -도피안사 (0) | 2010.02.11 |
삼각산 화계사-삼성암 (0) | 2009.11.27 |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0) | 2009.10.14 |
충주 단호사 보물 제512호 철불좌상 (0) | 200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