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사적 제 316호 보원사지 본문
보원사지(普願寺址)/국가지정 문화재 사적 제315호
보원사지(普願寺址)
보원사지는 국가지정 문화재 사적 제316호 서산시 운산면 강당계곡에 위치해 있다. 보원사는 통일신라 시대 창건, 고려초에 이르러 중창된 웅장한 규모의 사찰이었다.
보원사가 위치한 강당계곡의 특징은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태의 계곡이며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고풍리를 무릉동이라 하였다.
입구의 좁은 계곡을 지나 복숭아 꽃잎을 따라가면 별천지와 같은 마을이 전개되었기 때문이다.-이하 서산시 자료참조-
이곳에 서산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가 있고 주변에 백암사지를 비롯하여 많은 암자터가 산재해 있으며 도장바위.쥐바위,중사란골, 구낭골,선돌바위,
성안골 등이 있다. 그 중 중사란골은 승려가 죽으면 화장하던 곳이라 한다.백암사지는 이 골안에 99개의 사찰과 암자가 있었는데 100개를 채우지 말라는
계시를 어기고 백암사를 지어 모두 망했다는 전설이 있다.
보원사지 석조/보물 제102호
화강석의 돌을 파서 만든 것으로 절에서 물을 담아 쓰던 용기이다. 안쪽과 윗쪽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은 거칠게 다음은 것으로 보아 땅에
묻어 두고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978년(고려 경종 3)에 제작된 보원사
법인국사보승탑을 비롯한 다른 석조물들과 관련시켜 볼 때 고려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서산 보원사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사역내에서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된바 있어 그 창건시기를 백제시대까지 올려볼 가능성이 있는
유적지이다.최치원의『법장화상전 』에 화엄종을 주종파로 하는 큰 사찰중에서 보원사를 언급하고 있어 당시 화엄종 사찰로 추종된다.
보원사지 당간지주/보물 제103호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석조물이다. 당간을 절 앞에 세워 부처나 보살의 위엄과 공덕을 표시하고 사악한 것을 내쫓는 의미를 가진 당(幢)이라는
깃발을 다는 깃대이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의 위치에 놓여있다.
957년 법인국사 탄문이 입적을 하였고 『고려사』에는 보원사 계단에서 경율시험을 봤다는 기록이 있다(1036). 조선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1530)에
"보원사가 상왕산에 있다"고 하여 16세기까지 그 사세가 계속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서산의 지방지<호산록>(1618)에서는 보원사가 강당사로
바뀐것으로 기록되어 이때부터 다소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호서읍지>(1871)에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철조여래좌상의
양손이 없다고 기록하고 있어 이 시기부터 사세가 기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 사진에는 석조물만이 남아 있을 뿐 절의 흔적은 찾기 어렵다.
1959년 서산마애삼존불상, 1968년 금동여래입상이 주변에서 발견되어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현재 발굴조사중이다.
보원사지 5층석탑/보물 제104호
통일신라~고려조의 전형적인 탑으로 2단의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기단부의 면석에 사자상과 팔부중상이 조각되어 있고
탑신부 각층의 옥개석은 얇고 넓게 퍼져서 백제계의 양식을 보여준다. 부처님의 사리장치를 목적으로 세웠으며
1968년 석탑 해체보수 시 4층 탑신부에서 사리장엄구가 발견되었다.
법인국사보승탑 / 보물 제105호
법인국사 탄문의 사리를 모시기 위한 부도탑이다. 법인국사(900-975)는 광주 고봉출생으로 휘가 탄문, 자는 대오, 성은 고씨이며 15세에
신엄율사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968년 광종으로부터 왕사에 봉해져 귀법사에 머물었고 974년 국사로 책봉되었으며
975년에 보원사로 돌아와 입적함에 따라 부도를 만들어 사리를 안치하였다.
법인국사보승탑비/보물 제106호
46행 99자씩 모두 4천5백여 글자가 적혀있는 규모가 큰 비석으로 법인국사 탄문의 생애가 기록되어 있다.
임금 경종의 지시로 김정언이 찬하고 한윤이 글을 써 978년에 세워졌다. 이수의 네 모서리는 문양화한 구름을 가운데 두고
4마리의 용이 마주보게 배치하였다.
'사찰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 '보석사' (0) | 2010.04.21 |
---|---|
속세의 시름을 잊게 하는 절 개심사 (0) | 2010.04.13 |
백양사암자 천진암의 새벽 (0) | 2010.04.06 |
고불총림 백양사 (0) | 2010.04.01 |
영조대왕의 생모 최숙빈의 기도가 이루어졌다는 절집 - 담양의 용흥사 (0) | 2010.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