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민족시인 신동엽 시비 & 생가 본문
민족시인 신동엽 시비 & 생가
민족적 운명에 대한 뜨거운 사랑을 맑은 감성과 고운 언어로 노래한 시인
시인 신동엽은 충남 부여 출신이다. 1930년 8월 18일, 왕도 부여에서 태어난 그는 역사의 흐름 가운데에 서 있었다.
어린 시절 일제강점기를 직접 겪으며 살았으며, 그 과정에서 일본에 수탈되는 농민들의 피폐한 삶, 그리고 그러한 민중의 눈물을 보았다.
또 6·25전쟁을 겪으면서 같은 핏줄끼리 싸워야 하는 저주스런 역사에 울분을 토했다.
글쓰기에 유난히 재간이 있었던 신동엽은 1959년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조선일보)가 신춘문예에 입선돼 문단에 나와서
1963년 시집 <아사녀>를 상재했다. 이어 1967년엔 앞으로 백년은 널리 인구에 회자될 대서사시 '금강'을 썼다. 금강은 그가 끼고 살던 곳이다.
강렬한 민중의 저항의식을 동학혁명이라는 역사적 소재를 통해 형상화 한 <금강(錦江)>은 동학혁명에서 그 시적 주제를 찾고 있으며 동학
이후의 민족의 수난사를 내용으로 삼고 있는 장시이다. ‘4월은 갈아엎는 달’ 등 민족정기를 일깨우는 시를 발표하며 열정적인
삶을 살았던 그는 고 1969년 4월 간암으로 영면에 들었다.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 월룡산(月龍山) 기슭에 묘가 있으며, 1970년에 그의 고향 부여읍 동남리 금강변에 시비가 세워졌다.
신동엽생가/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501-21
아무도 살지않은 생가는 안채와 사랑채로 나뉘어져 있다. 옛집을 헐고 개축한 모양새가 부자연스럽다.
사랑채엔 신동엽시인의 부인인 인병선씨가 쓴 '생가'라는 시가 붙어 있다.
우리의 만남을/ 헛되이/ 흘려버리고 싶지 않다//
있었던 일을/ 늘 있는 일로/ 하고 싶은 마음이//
당신과 내가/ 처음 맺어진/ 이 자리를/ 새삼 꾸미는 뜻이라//
우리는/ 살고 가는 것이 아니라/ 언제까지나/ 살며 있는 것이다.'
-인병선, '생가' 전문
<사랑채>
<안채>
'바람길따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제 별궁의 연못 아름다운 '궁남지' (0) | 2010.06.07 |
---|---|
백제시대의 산성 '성흥산성' (0) | 2010.06.04 |
백마강변의 유적지를 찾아서... (0) | 2010.06.04 |
낙화암이 있는 부소산성으로 가는 길... (0) | 2010.06.04 |
봉화 닭실마을의 청암정 (0) | 2010.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