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국내에서 제일 크고 웅장한 성 '삼년산성'/사적 제235호 본문
삼년산성(三年山城)/사적 제235호
충북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 산성은 470년(자비왕 13)에 축성을 하였는데 3년이 걸렸다고 삼년산성이라고 한다.
신라는 이곳을 백제 공격을 위한 최전방기지로 삼았다.삼국통일 전쟁때 태종 무열왕이 당나라 사신을 접견하는 장소로 이용하였고,
고려 태조 왕건은 이 성을 점령하려다 크게 패하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석축 산성으로 둘레 1,680m, 최고높이 22m,폭 8-10m에 이른다.
삼년산성은 반원형 치성과 성내 배수를 위한 수구 등 특이한 축성양식과 축성 및 수리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남아 있어 우리나라 고대 축성법 연구에 중요한 산성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 성은 국내에서 제일 크고 웅장한 성이라고 한다. 옛 신라시대의 최전방 기지로 지금은 보은군이 한적한 시골마을이지만 그 당시만
해도 서울로 가기 위해서는 이 보은을 꼭 거쳐야 서울로 갈 수 있었다고 하니 중요한 길목인셈이다.
신라 470년 자비왕때 병사 3000명이 동원되어 무려 3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성을 쌓았다고 한다.
성을 쌓은 돌들을 보아하니 그 당시의 도구들을 생각해 보면 고개가 끄덕여 진다. 지금처럼 중장비가 있었던 것도 아니고...
또 어디서 이 많은 돌들을 가져왔을까? 커다란 바위돌도 아닌 그저 벽돌만한 크기의 작은 돌들로 높이 22m, 너비 5~8m 전장 1680m에 이르는
웅장한 성을 축성하는데는 그 많은 인원을 동원 하고도 3년이란 시간이 필요했으니....오죽 했으면 이름이 '삼년산성'일까?
성벽은 주위의 능선을 따라 견고하고 웅대하게 구축하였는데,성벽의 구축방법은 내외면 모두 석축으로 수직에 가까운 벽면을 이루게 하였고
전형적인 협축공법을 채용하였는데, 특히 이 협축성벽은 토사를 전혀 섞지 않고 내부까지 전체를 석축으로 견고하게 구축하였다.
협축공법(夾築工法)은 흙을 전혀 섞지 않고 내부까지 돌로만 이루어진 석축이라고 한다.
무너진 산성을 보아하니 안쪽에 돌들은 울퉁불퉁 촘촘하게 채워 넣고 바깥 돌들은 반듯하게 다듬었다.
여기저기 무너지고 부서진 산성이지만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어 복원하는데도 도움이 되는것 같다.
말끔하게 복원되기도 해야겠지만 더 이상 훼손이 안되게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겠다.
오늘은 정말 오붓하다 못해 외롭기까지한 인원으로 보은으로 가을 산책을 나온듯 하다.
평일에 기행에 나서니 길도 막히지 않고 문화재 주변도 혼잡하지 않고 유유자적 놀며쉬며 여유롭게 다닐 수 있어 좋다.
그래도 좀 더 많은 도반들과 함께 나설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평일기행의 좋은 점을 누려야 하지 않겠나......ㅎㅎ
'아당골'에서 대추를 사서 아삭아삭 사과 먹듯이 달콤한 대추를 배불리 먹었더니 종일 배가 고프질 않았다.
대추 한알 가지고 열흘을 버틸 수 있다는 신쌤의 말씀에 의하면 우리는 일년을 굶어도 될성 싶은데 구름재님이 주신
영양찰떡까지 먹었으니 저녁은 굶어도 좋을성 싶었지만 함께 한 도반들과 하남의 '만남의 광장'에서 콩나물국밥으로 저녁을 먹었다.
보은 어느 아파트에 불이 났다. 연기가 사방에 퍼지더니 바람을 타고 산성까지 날아온다.헐~~~
내려 갈 때 보았네
올라 갈 때 보지 못한 꽃...
고은님의 시 귀절처럼 올라 갈때 보지 못한 새 발자국을 내려 오면서 발견을 하고 어째 이걸 못 보았지 하며 신기해 했다....ㅎㅎ
'바람길따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도기행중 사슴을 닮은 섬 '소록도'를 가다 (0) | 2010.10.07 |
---|---|
문의문화재단지 (0) | 2010.09.29 |
<충북 보은군>선씨 종가의 보은 선병국가옥/중요민속자료 제134호 (0) | 2010.09.29 |
북방식 전통한옥마을 고성 '왕곡마을' (0) | 2010.09.27 |
강원도 고성 '청간정' & '천학정' (0) | 2010.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