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북방식 전통한옥마을 고성 '왕곡마을' 본문

바람길따라서

북방식 전통한옥마을 고성 '왕곡마을'

다보등 2010. 9. 27. 12:06

옛것 그대로 시간이 멈춘곳 북방식 전통한옥마을 고성 '왕곡마을'

왕곡마을은 19세기 전후로 건립된 북방식 전통 한옥과 초가가 잘 보존되어 2000년 국가지정 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 제235호"로 지정되었다.

 

 

 

 

고성 왕곡마을은 강원도 동해안 송지호해수욕장에서 0.5km 지점에 있으며 주변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서 취락을 이루고 있는

전통 한옥마을이다. 양근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의 집성촌으로 고려 말 두문동 72인 중의 한분인 함부열이 조선왕조 건국에 반대하여

간성에 은거한데서 연유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이래 150여 년에 결쳐 형성되었다. 14세기경부터 수려한 자연 환경 속에 취락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19세기 전후하여 건축된 북방식 전통가옥들이 군락을 이루어 원형대로 보존되어 왔다.현대문화의 변화와

영향에도 불구하고 자연경관, 건축물, 농업 위주의 생활 등이 원래의 모습대로 전래되고 있어 역사적, 학술적으로

전통민속마을의 가치가 인정된다.(자료참조 -문화재청-)

 

 

마을 형국은 오음산이 주산이 되고 두백산과 공모산이 좌청룡,순방산과 제공산 그리고 호근산이 우백호에 해당되는데 호근산을 안산으로

볼 수도 있다. 산의 선수가 유선형인 배가 동해바다로부터 송지호를 거쳐 마을로 들어오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들 5개 봉우리가

겹치듯이 어우러져 있고 이들 형국 안의 주거지는 외기의 영향을 덜 받는 상태이다.

 

왕곡마을이 송지호에서 바라보았을 때 배를 밀어넣는 방주형인 탓에 길지로 소문이 나 있고 "마을이 물에 떠 있는 형국이어서 구멍을 뚫으면

배가 가라앉기 때문에 우물이 없다"며 수백년간 전란과 화마가 발생해도 피해가 없을 정도로 길지 중의 길지이다"고 마을주민이 귀띔을 한다.

 

 

 

 

 

왕곡마을의 가옥구조는 안방, 사랑방,마루, 부엌이 한 건물내 수용되어 있으며 부엌에 외양간이 붙어 있는 겹집구조이다.

마을 안길과 바로 연결되는 앞마당은 가족의 공동작업 공간 역할을 하면서 타인에게 개방적이었던 반면에 비교적 높은 담으로 둘러싸인

뒷마당은 폐쇄적이다. 뒷마당은 반드시 부엌을 통해서만 출입이 가능하고 뒷담 길에서 내려다 보더라도 마당은 보이지 않고

지붕만 보여공간이 보장되는 구조이다.

 

 

 

 

 

<<함희석 효자비>>

함희석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869년도에 건립한 것이다. 효자함희석은 부모가 병환으로 눕게되자 바다에 헤엄쳐 나가 귀한 고기을 잡아

부모를 봉양 하였다. 하루는 천화(天火)로 집안에 큰불이 나 부모가 큰 화상을 입어 움직일 수 없게 되자 지성으로 부모를 보살피는 등

효성을 다 하였다. 부모의 상을 당하여서는 3년동안 범의 호위아래 시묘를 산 보기드문 효자로 조정으로 부터

그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이 정문을 내리셨다.

 

 

함희석 효자비의 전면에 「효자통정대부행돈녕부 도정 강릉 함희석 지각」로 새겨져 있으며 비각의 전면 기둥 안쪽으로

홍살문을 세운 것이 이채로운 양식이다.

 

 

북방식 전통 한옥 및 초가

<<고성 함정균 가옥>>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78호

강릉 함씨 21대 후손이 살고 있으며 19세기 중엽에 건축되었다.

 

 

 

 

 

백일홍과 호랑나비....

 

 

 

 

대문없는 마당......

왕곡마을의 가옥구조는 동족마을의 특성으로 대문이 없는 개방적인 배치구조이다.즉 입구 쪽으로 대문과 담장이 없다는 것인데

이것은 바람과 눈이 많은 이 지방의 기후 특성과 관계가 있다. 햇볕을 충분히 받고 적설로 인한 고립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 형태의 마당 구조에 기단이 높은 것도 이러한 이유이다.

 

 

 

 

 

 

 

 

항아리 굴뚝.....

집마다 굴뚝 모양이 다르게 만들었는데 진흙과 기와를 한 켜씩 쌓아 올리고 항아리를 엎어 놓아 굴뚝을 통해 나온 불길이 초가에 옮겨 붙지

않도록 하고 열기를 집내부로 다시들여 보내기 위한 선조의 지혜를 엿 볼 수 있다.

 

 

 

 

 

 

 

                     왕곡마을 전통한옥숙박체험 : http://www.wanggok.kr

 

                     찾아오시는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