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안동 선성수상길 본문
선성은 예안마을의 옛이름이다. 안동 선성현 문화단지는 안동호의 수변 경관이 내려다보이는 부지에 객사, 동헌, 역사관 등 옛 관아를 복원하여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관광단지이다. 고려시대 선성이라는 지명과 조선시대 예안현의 관사가 존재하였던 사실을 근거로 선성현 관아를 재현하였으며 또한 안동호를 따라 물 위를 걸으며 멋진 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 선성수상길(길이 1.10km)이 위치해 있다.
예끼마을은 산촌이 아닌 강촌마을이다. 안동댐에 막혀 수위가 올라온 낙동강이 눈앞에 펼쳐진다. 원래 마을은 저 강물 아래에 있었다. 예끼마을은 예안면에 살던 사람들이 1976년 안동댐 수몰로 인하여 이주하면서 만들어진 마을이다.
안동시의 3대 문화권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선성현 문화단지의 상징인 선성수상길은 안동선비순례길 제1코스로 선성수상길을 걷다보면 수몰된 예안국민학교 자리에 풍금과 책상, 칠판 등의 조형물이 있고 이 길을 따라가면 산림휴양림이 나온다.
선성수상길은 안동호의 수위 변동에 상관없이 수상을 걸을 수 있는 부교(浮橋)이다. 물이 불면 위로 올라오고 물이 줄면 다시 내려가는 구조로 되어있다. 내가 신경이 무뎌서인지 부교 위를 걷는데 그닥 흔들리는 느낌을 받지 않았다.
코로나 사태로 안동의 주요 명소 대부분이 인적이 뚝 끊겼는데 예끼마을에서 낙동간 건너편 호반자연휴양림까지 이어진 1.1km 길이의 선성수상길로 인해 이 작은 마을에 관광객들이 쉼없이 들락거렸을 만큼 인기있는 관광지라고 한다.
이 다리 아래에 물밑에 잠긴 마을은 안동시 예안면 소재지로 인근에서 제일 큰 마을이 있었단다.
선성수상길 중간 쯤에 예안국민학교(초등학교)를 추억하는 자리를 만들어 놓았다.
이 아래 물밑에 우체국, 은행, 국민학교 등 누군가의 생활 터전이고 고향인 마을이 있었다고 생각하니 기분이 묘했다.
선성현 문화단지 입구
'우리땅 구석구석~~ > 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탕친 군립청송야송미술관, 닭불백숙을 하는 신촌 포항식당 (0) | 2022.05.13 |
---|---|
독립운동의 성지 <임청각臨淸閣>, 보물제182호 (0) | 2022.05.09 |
안동, 藝끼마을 (0) | 2022.05.04 |
영양 자작나무 숲 (0) | 2021.12.10 |
길 위의 작가 김주영 <객주 문학관>/청송군 진보면 (0) | 2021.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