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여주 고달사지 부도(국보제4호) 본문
여주 고달사지(사적 제382호)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764)에 처음 건립되어 고려 4대 광종 대 이후 한때 전성기를 누렸으나 언제 폐사되었는지 알수 없고
절터만 남아 몇몇 유물을 전하고 있다.고달사지는 경주의 신라 석조유물의 뒤를 이어 고려로 이어지는 불교미술의 흐름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중요문화재인 고달사지부도(국보 제4호)·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보물 제7호)·고달사지석불좌(보물 제8호),
고달사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6호)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고달사지쌍사자석등(보물 제282호)은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고달사지 석불좌(石佛座) <보물 제8호>/고려시대
이 석불좌는 불상은 없어진 채 대좌만 덩그렇게 제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보존상태가 거의 완벽하고 조각솜씨가 명쾌한 4각대좌의 수작이다.
이 대좌는 장방형의 석재를 상.중.하대등 3중으로 겹쳐 놓은 이른바 방형대좌이다. 상대는 양련을 시원하고 뚜렷하게 조각했고 중대는 4면에 모두
하나의 큼직한 안상을 음각했는데 솜씨가 명쾌하며, 하대는 상대와 같은 수법의 연꽃을 복련으로 새기고 그 아래로 안상도 조각하고 있다.
말하자면 방형의 중첩과 연꽃과 안상무늬의 교체를 명쾌하고 산뜻한 조각솜씨로 조화시킨 고려 초기 역작의 석조대좌라 할 수 있다.
고달사 원종대사혜진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 6호>/고려시대
이 귀부와 이수는 「 혜목산고달선원국사원종대사지비」 를 받쳤던 귀부와 비신석위에 얹혔던 이수이다.
비는 일찍이 무너져 신석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현재는 경복궁 근정전 서쪽화랑에 진열되어 있으며 이곳 고달선원 절터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이 있다. 비문에 의하면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869) 13세에 출가하여 상주 공산 삼랑사에서 융제선사에게 사사 하였다. 22세에 양주 삼각산
장의사에서 구족계를 받았고 23세에 입당하여 서주 동성현 적주산에서 자선화상에게 사사하였으며 경명왕 5년(921)에 환국하여 봉림사에 거주하였다.
그후 광주 천왕사에서 고려 광종 9년(958) 8월에 90세로 입적하니 왕이 애도하여 원종대사 혜진이라 주시하고 '진영일정'을 그리게
하였으며 대사 입적후 17년에 이 비가 새워졌음을 알 수 있다.
귀부는 거대한 단일석으로 조성되고 6각 귀갑문이 장식되어 있으며 장방형의 비좌는 운문이 새겨져 있는 연화좌위에 조출되고 상면 둘레에는
복련문이 조출되어 있다. 네 다리와 손톱끝의 조형은 사실적이며 예리하나 귀두의 면모는 흔히 볼 수 있는 용형이다. 이수는 구름과 용무늬로
장식되어 있으며 정상에 작은 구멍이 뚫여져 있어 보주가 꽂혔던 흔적으로 보인다.
고달사지 부도 <국보 제 4호>/고려초기
팔각원당형의 고달사지 부도는 거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섬세하고 화려한 고려시대의 부도 양식을 보여준다.
이 부도의 하대석에는 팔각의 각면에 안상이 새겨져 있고 그 위에는 연꽃이 조각되어 있다. 중대석에는 거북, 용, 구름이 조각되어 있는데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있을뿐 아니라 웅장하여 이 부도의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상대석에는 연꽃이 표현되어 있다. 그 위에 몸돌에는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우주)이 새겨져 있으며 그 사이마다 자물쇠 문양(문비)과 사천왕상, 영창이 조각되어 있다. 지붕돌은 몸돌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
졌으며 추녀 끝에 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상륜부에는 복발과 보개가 올려져 있다. 이 고달사지 부도는 전체적인 조각수법으로 보아
같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혜진탑(977년 건립추정)보다 앞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부도란 승려의 사리를 보관하는 탑으로 석탑이 석가의 사리를 보관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탑이다.
고달사지 부도는 전체 높이가 3.4m에 이르는 탑으로 전체적으로 신라시대보다는 고려시대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탑이다.
고려 광종이후 고달사가 크게 유지된것으로 보아 광종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탑 상단부에 있는 사천왕상과 문짝모양.
팔각의 몸돌에는 문짝과 창살문,사천왕이 번갈아 조각되어 있다.
사리와 경전이 들어 있으니 열쇠로 잠가 보호를 하고 사천왕이 지킨다는 의미라고 한다.
지붕돌 처마밑에 새겨진 비천상.
긴 천의 자락을 날리며 우아하게 하늘을 나는 모습이 천상의 세계에 머물고 있음을 말하고 있는 것이리라...
고달사지쌍사자석등 <보물 제282호>
고달사터에 쓰러져 있던 것을 1959년 경복궁으로 옮겨 왔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높이는 2.43m이며 불을 밝히는 화사석(火舍石)까지만 남아있었으나, 2000년에 경기도 기전매장문화연구원이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지붕돌이 출토되었다. 직사각형의 바닥돌 4면에 둥글넓적한 모양의 안상(眼象)을 새기고,
아래받침돌 대신 2마리의 사자를 앉혀 놓았다. 사자는 좌우에서 앞발을 내밀고 웅크리고 있으며, 등 위로 구름이 솟아올라있다.
가운데받침돌에는 구름무늬를 돋을새김하였고,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다. 그 위에 놓인 화사석은 4면에 창을 뚫었다.
우리나라 쌍사자석등의 사자는 서있는 자세가 대부분인데, 이 석등은 웅크리고 앉은 모습이 특징적이며,
조각수법 등으로 보아 고려 전기인 10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출처 : 문화재청-
'바람길따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 (0) | 2010.02.16 |
---|---|
전쟁의 상흔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철원노동당사 (0) | 2010.02.12 |
월출산 남쪽자락 월남사지 (0) | 2010.01.14 |
경주이야기 (0) | 2009.12.25 |
황량한 비석에서 옛일을 찾다 -법천사지 (0) | 2009.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