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오리정승 이원익 신도비 본문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오리정승 이원익 신도비
빼곡한 고층아파트를 벗어나면 도시보다는 시골이라는 표현이 적당한 한적한 동네이다. 여기저기 파헤쳐진 붉은 땅들이 있어 언제가는 하나둘씩 건물들이 들어서겠지만 아직은 호젓한 곳이 많은 도시의 언저리이다 우리동네는. 그래서 가볍게 여행(?)하듯이 여기저기를 기웃거리며 알아 가는 재미가 솔솔한 흥미로운 동네이다.
광명시 관광안내도...
하나씩 알아 가는 재미에 기대까지 갖게 되는 관광안내도...
이원익은 누구인가? 간략하게 알아 본다면?
오리 이원익 선생(1547~1634)은 선조, 광해군, 인조 등 3대에 걸쳐 40여 년간 다섯 번의 영의정을 지낸 명신이자, 평생을 청빈하게 생활한 조선 중기 대표적 청백리다. 조세제도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대동법을 주창했으며 국사를 원만하고 합리적으로 처리해 존경을 받았다. 현재 광명시 소하동에 인조로 부터 하사받은 관감당,사당인 오리영우,종택 등의 문화재가 있다.
화창한 하늘이 하도 예뻐 카메라들고 여기저기 걸어다니다 우연찮게 기형도의 생가터를 만났고...
그리고 광명KTX 역사를 먼 발치에서 바라보며 아파트가 밀집한 울 동네로 들어오며 내친김에 언제나 궁금하였던 이원익기념관으로 들어 가 보았다. 이원익이란 이름으로는 잘 모르겠으나 오리정승이라는 이름은 낯설지 않다. 그러나 굳게 닫힌 문. 내부 리모델링 중이라 현재는 휴관인 상태였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더니...
기념관은 주변에 야산을 끼고 한적한 곳이었고 도로 건너편에 있어 일부러 가지 않으면 지나는 길에 들어 가 볼 수 있는 곳은 아니었기에...이 참에 들렀더니...
커다란 기와지붕이 언제나 궁금하던차에 그것이 이원익기념관이라는걸 최근에 알게 되었고 우리 아파트를 끼고 있는 도서관이나, 초,중,고등학교가 충현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이원익선생의 문중에서 박물관의 이름을 충현이라 함에서 따온 모양이다.,
기념관앞에서 발길을 돌려 내려올려다 언듯 우거진 숲속사이로 보이는 비각이 눈에 뜨였다. 이쪽과 저쪽의 경계에 초록색의 펜스가 쳐져있었으나 마침 쪽문도 열렸길래 그곳으로 걸음을 옮겼다. 비각앞에는 이원익 신도비라는 안내문이 있다.
경기도 기념물 85호라 적혀있다. 잠시 서서 읽어보고 옆에 있는 딸아이에게 오리정승 아냐고 물었더니 모른단다.
에효...그럴줄 알았다. 이 참에 자세히 읽어보라고 일러둔다.
신도비를 보고 난후 옆으로 난 오솔길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 보았다.
바닥에 푸른이끼가 낀 길은 사람의 발길이 닿은지 오래된듯 하다. 여기가 어디지?
무슨 비밀의 정원에라도 들어 온듯한 기분이 들었다. 참으로 아름다운 정원이다.
잠시후에 이곳이 묘지였다는걸 알게 되었다.
여기저기 파묘를 한 흔적들도 보이고 잘 가꾸어 놓은 무덤들도 눈에 뜨인다.
언덕위에 묘가 있다!
진달래가 피어 있는 약간 놓은 곳에 위치한 묘에는 문인석이 있는 걸로 보아 그냥 예사롭지 않았다.
주변에 많은 묘들이 있었고 묘들은 하나같이 정성스레 손질이 잘되어 있다.나중에 알고보니 이곳은 이원익선생에 관련된 묘역이었다.
그야말로 내친김에 충현박물관까지 가 볼 참이었다.
충현역사공원을 지나 도로를 건너면 바로 충현박물관을 만날 수 있다.
이 모든건 집주변에서 10분거리에 다 있는 곳이다.
그러나 굳게 닫힌건 이곳도 마찬가지이다.
알고보니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에 관람을 할 수가 있다. 평일엔 예약을 하여야 한다고...
아쉽긴 하지만 집에서 가까우니 다음 기회에 찾아야겠다.
아쉬운 발걸음을 돌리며 담장밖에서 기웃거린다.
안내도를 보아하니 의외로 안이 넓은 모양이다.
기대가 한층 커진다.
'우리땅 구석구석~~ > 서울.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의 보물창고를 찾아서~~^^* (0) | 2013.05.13 |
---|---|
안양천 벚꽃길따라 분홍빛 멋진 산책로 (0) | 2013.04.22 |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기형도시인의 생가터 (0) | 2013.04.15 |
전철타고 가보자 경기도립물향기수목원 (0) | 2013.03.12 |
팔미도 등대에 불을 밝혀라 (0) | 201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