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경기둘레길 김포 58코스 본문
8일 토요일 아침 2호선 당산역 2번출구에서 7000번 버스를 타고 김포골드라인 마산역에서 30여분만에 도착을 하였다. 밀리지 않고 논스톱으로 달리더니 뜻밖에 만나는 시간보다 30여분 일찍 도착한지라 좀은 느긋하게 일행들을 기다렸다가 오전 9시 30분에 김포58코스 종점(우리는 시작점)인 김포새솔학교 방향으로 출발을 하였다. 마산역에서 김포새솔학교까지는 1km 조금 넘는 거리인지라 걸어가도 무방한 곳이었다.
김포새솔학교 앞에 있는 안내문은 김포 59코스 시작점이라는 안내도가 있다.
스탬프 함에는 58코스 종점 도장과 59코스 시작 도장이 나란히 비치되어있다.
58코스 종점 스탬프를 찍고 역방향으로 본격적으로 걷기 시작이다. 이때가 오전 9시 57분이다.
<경기둘레길 김포 58코스>
장릉 능역과 산책로를 돌아서 입구에 선다. 처음 걸음은 매표소 앞부터 시작하는 숲길을 따라간다. 김포시청 뒤 장릉산 기슭에도 싱그러운 숲으로 이어지는 산책로가 있다. 숲 산책로가 끝나면 마을 길이다. 마을길을 한참 돌아 다시 김포대수로와 마주한다. 2km쯤 이어지는 김포평야를 건너간다. 들판 끝 금빛근린공원부터는 다시 산길이다. 이름은 산인데 최고 높이는 80m정도다. 주민들 산책코스로 그만인 언덕이다. 산길을 다 내려오면 종점 김포새솔학교다.
♣ 김포58코스 : 김포장릉(김포시청입구) ~김포초등학교~외웅부락 마을회관~김포새솔학교 앞(9.3km, 3시간 5분)
허산숲길 안내도가 가는 길에 있다.
우리가 가야할 길과 함께 가는 숲길이다. 주민들 산책코스로 그만인 언덕 같은 산이라더니 참말 그런 모양이다.
허산은 김포시 장기동과 인천 서구 대곡동의 경계에 위치해 김포한강신도시와 장기지구를 남서쪽에서 감싸고 있는 해발고도 약 80m의 나지막한 산으로 금빛근린공원과 솔터힐링숲체험원, 무궁화동산을 만날 수 있는 3.5km의 편안한 숲길이다.
허산을 벗어나며 한참동안은 곧게 뻗은 포장된 길을 따라간다.
옆쪽으로 수로가 함께 가는데 김포대수로라 짐작을 하며 걷는다.
구두물교 아래는 꽁꽁 얼어 썰매치기 딱 좋은 곳인듯!
이리저리 난 썰매 자국이 그걸 증명해준다. 깊지 않으니 혹시 빠져도 무방한 아주 멋진 얼음판이다.
겨울에만 볼 수 있는 길 풍경이다.
이 동네 어디쯤에서 점심을 먹었다. 시간은 11시 30분쯤 된 시간이지만 다들 이른 아침 나선지라 배가 고프다. 적당한 식당을 찾아 들어가 점심을 해결하였다.
역시 금강산도 식후경이라더니 배가 든든하니 걷기가 수월하다. 도로를 살짝 벗어나나 싶었는데 느닷없이 옆쪽에 커다란 가림막이 있어 길이 막혔다. 둘러가지 않고 내쳐 걸어 앞쪽에 보이는 울타리를 넘어보기로...ㅎ
걱정과 달리 어렵지 않게 울타리를 넘을 수 있었다.
주변이 온통 재개발로 인해 동네 전체가 다 이주를 하고 빈집들 뿐이다.
비어있는 집들...동네 전체가 텅빈...
언제할 지는 알 수 없으나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면 경기둘레길 58코스 우회로로 수정해야할 것 같다.
쉼터에서 잠시 쉬면서 각자의 배낭에서 커피, 과일 등을 꺼내 식사 후 티타임을 갖기도 하고...
이곳은 장릉산 산책로인 모양이다. 장릉이라하면 요즘 장릉뷰아파트로 시끄러운 그 장릉이다.
걷다보니 김포 58코스 안내도와 스탬프함이 있는 지점에 도착을 하였다. 지난 번 걸었던 60코스, 59코스 때와는 달리 숲길이 그닥 힘들지 않다. 지난 번에 스틱이 없어서 워낙 힘들어서 이번엔 스틱을 가져왔으나 배낭에서 꺼내지 않고도 그냥 걸을만 하였다.
경기둘레길을 역방향으로 걸어 시작점에 와서야 만날 수 있는 경기둘레길 김포58코스 안내도.
58코스안내도가 있어 코스 끝인줄 알았으나 58코스 안내도를 만나고 스탬프를 찍고도 김포 장릉입구까지 조금 더 진행하여야 한다.
초록색 펜스 안쪽은 김포 장릉 구역이다.
<김포 장릉>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김포장릉은 조선 선조의 5번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로 1632(인조 10) 왕으로 추존된 원종(1580~1619)과 부인 인헌왕후 구씨(1578~1626)의 무덤이다.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에 있다.
김포 장릉은 릉이 조성된 이후 이렇듯 이슈가 되었던 적이 없었을 터.
김포 장릉 주변의 왕릉뷰 아파트를 둘러싼 갈등이 어떻게 해결이 날 지...
재산권 못지않게 문화재 보존도 중요한 가치다. 아파트의 완전 철거나 부분 철거 없이 이 사태가 마무리된다면 김포 장릉을 포함한 조선왕릉 40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등재 취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고보니 김포 장릉 하나만 취소가 되는 것이 아닌 모양이다. 김포 장릉의 가치를 보존하면서 입주 예정자들의 주거권. 재산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터인데...
'경기둘레길 860k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둘레길 부천 55코스 (0) | 2022.02.07 |
---|---|
경기둘레길 부천 56코스 (0) | 2022.02.04 |
경기 둘레길 김포57코스 (0) | 2022.01.12 |
경기둘레길 김포 59코스 (0) | 2021.12.21 |
경기 둘레길 김포 60코스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