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그린로즈의 일상 스케치

나한의 영험으로 유명한 전각 거조암의 '영산전' 본문

사찰여행

나한의 영험으로 유명한 전각 거조암의 '영산전'

다보등 2011. 5. 16. 17:06

나한의 영험으로 유명한 전각 거조암의 '영산전'

 

 

 

은해사 비구니선원 백흥암에 참배하고 인종대왕태실을 거쳐 부처님오신날 법회를 앞둔 은해사의 북적임을 뒤로하고 은해사의 말사인 거조암

으로 이동을 하였다. 팔공산 동화사 가기전 거조암 영산전을 거쳐서 가기로 했다. 거조암은 팔공산 동쪽 기슭에 자리한 은해사의 말사이다.

거조암은 당초 '거조사'라 해 은해사보다 먼저 창건됐다. 목조 서까래와 흙벽으로 지어진 3채의 건물과 마당 중앙에 놓인 3층석탑, 입구 누각

전부다. 얼핏 보면 어느 양반집의 사당 정도로 여겨질 만큼 소박하지만 원형을 잘 지녀 포근하고 넉넉한 느낌이다. 거조암이 세인들로 부터 주

목 받는 것은 국보 제14호로 지정된 영산전과 그 안에 모셔진 오백나한상 때문.

 

 

 

 

은해사 거조암 삼층석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4호

거조암 영산전앞에 있으며 높이 3.15m로 고려시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산전이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묘법연화경을 설하고 계신 장면을 극적으로 그린 영산회상도를 모시기위해 특별히 지은 법당을 말한다.

거조암 영산전은 얼핏 보면 건물전체가 경판고 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으나 이 건물내부에는 석가여래, 문수보현, 오백나한이 봉안되고 있다.

간결하고 단순한 건물이지만 내부공간이 시원스럽게 펼쳐져 공간감이 훌륭하다. 1970년대에 해체 수리가 이루어질 때 묵서명이 발견되었는데

그 기록에 의하면 고려 우왕 원년(1375)에 지어진 건물로 볼 수 있다.영산전은 현재 국보 제14호로 지정되어 있다.

 

 

불기 2555년 부처님 오신날 경북지역엔 많은 비가 내려 대부분의 절에서는 연등에 비닐을 씌우거나 최대한 비를 피할 수 있게 나름대로 방법을

동원하고 있었다.

 

 

 

 

 

거조암 영산전/국보 제 14호

 

 

영산전에 모셔진 526개의 석조나한상은 흔히 '오백나한'으로 불리지만 석가모니부처의 10대제자와 16나한을 합친 526위의 나한이 정확한 표현,

법화화상이 신통력을 발휘해 각 불상이 스스로 자리를 잡았다고 전해진다. 나한들은 원래 세속 잡인이었으나 불타의 설법에 감복해 삶의 진리를

깨닫고 오도성불한 불제자들이다. 이 때문에 불자들은 수행으로 성불한 오백나한을 '덕이 매우 높은 성자'로 받들고 예배한다.

 

 

 

 

 

 

극락도에 의해 배열된 나한상은 자세가 제각각이다. 표정도 하나같이 천진하고 익살맞고 해학적이다. 하지만 영험이 뛰어나다는 속설 때문에 소원을 

빌기위한 자들이 끊이지 않는다. 불교가 극도로 융성했던 고려시대에는 스님들에 대한 존경심 표현의 자연스런 출로 나한에 대한 신앙심이 상당

히 커져 있었으며 이 나한상의 조각형태는 일정한 규범이 있는 것이 아니라 고승들의 개성적인 모습을 자유롭게 현하고 있다.

 

 

 

 

 

<정혜결사도량>

지눌스님께서 고려중기 송광사에서 수선사를 세워 정혜결사를 이룩하기 이전에 각 종파의 고승들을 맞아 정혜를 익혔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 불교문화사에 길이 빛날 <권수정혜결사문>을 발표하였던 곳이 바로 이곳 거조암이라 한다.

 

 

 

 

거조암의 역사

거조암은 당초 '거조사'라 해은해사보다 먼저 창건됐다. 신라 효성왕 2년(738) 원참도사가 이 절을 창건했다고도 전하고 경덕왕 때 왕명으로 창건

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그뒤 진평왕 13년 혜림법사와 법화화상이 영산전을 건립하여 오백나한을 모시고 제대성중 기도도량, 영험있는 나한기도

도량으로 유명해졌다고 한다. 우리나라 목조건축물은 고려시대 이전의 것은 현재 전하지 않으며 지금 남아있는 고려시대 목조 건축물로는 13세기

초에 건립된 부석사 무량수전, 예산 수덕사 대웅전,이곳 거조암 영산전,부석사 조사당 등 4곳 건물들 뿐이라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소재지 : 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 은해사 거조암